2021년 장마 기간이 늦어지고 있다. 시작이 언제인지 기상청의 뉴스를 보면, 2021년 장마 시작은 예년보다 늦게 온다고 뉴스에서 기상청의 소식을 전해 오고 있다. 2020년에는 엄청난 장마가 온 뒤 2021년의 장마의 기간에 대해서 관련 기사로 정리 해보다.
- 2021년 장마 기간과 시작
- 2021년 장마가 늦은 이유
- 평균 강수량과 올해 예상 강수량
2021년 장마 기간과 시작
2021년의 장마 기간과 시작은 관측이례 가장 늦은 장마로 기상청에서 뉴스를 통해서 알려졌다. 예년에는 평균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의 1개월 전후로 장마 기간이 되지만, 올해는 2주가량 늦은 7월부터 시작이 될 것으로 예보가 나왔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6월 말 , 중부 지방은 7월 초이라고 나왔으나, 2021년 7월 9일 현재 시점까지도 많은 양의 비는 오지 않고 국지성 호우만 발생되고 있다. 보통 장마 기간은 1개월 정도 이므로 7월 말까지 장맛비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장마가 늦은 이유
장마가 6월에 나타나지 않은 이유와 시작 기간이 뒤로 밀려난 이유는 정체전선이 남쪽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있는 이유이다. 북쪽의 편서풍인, 차고 건조한 바람이 내려오다 하강기류가 형성 되고 있어, 찬 공기의 영향으로 장마 전선의 북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결국 지구 온난화 등의 이유로 북쪽의 찬 공기가 확장되어, 남쪽의 장마 전선의 북상을 가로막는 형태이다.
평균 강수량과 올해 예상 강수량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1200mm 에서 1400mm 정도로 나오며, 이중 절반 이상이 여름에 집중이 되어 있다. 특히나 길고 엄청난 강수량으로 힘들었던 2020년 장마 기간동안은 1,000mm의 강수량이 집중되어 일 년의 반 정도가 해당 장마기간 동안 발생되었다. 반명 마른장마였던 2019년 갔은 경우는 2020년의 절반도 되지 않은 강수량을 나타 내기도 했다. 평균 적으로 보면 600mm의 강수량 정도가 2021년에도 예상이 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하여, 예측이 어려워 기상청에서도 정확한 발표를 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연도별 계절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역대급 강수량이 나온다. 눈에 띄는 것은 위에서 말한 2020년도의 장마 기간동안 쏟아부은 강수량이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강수량이었다. 8월까지 이어진 장맛비로, 휴가철 위험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북쪽의 찬 공기의 영향으로 점점 강수량이 많아지는 점과, 장마의 시작은 뒤로 밀리고, 기간은 길어지는 점이 앞으로의 기후 변화의 방향이지 않을지 염려스럽다.
댓글